집값 대세 상승은 어렵지만
전세 놓고 주택 매수 가능해져
인기 아파트 선호 뚜렷할 듯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이 12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심의 결과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뉴스1
12일 서울시가 강남권 토지거래허가구역을 대폭 해제한 것과 관련, 부동산 시장에서는 국지적으로 ‘똘똘한 한 채’ ‘갭투자’ 현상이 돌아올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서울시가 국제교류복합지구(GBC) 인근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즉시 해제한다고 이날 밝혔지만 전문가 사이에는 "집값이 대세 상승하기는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 기회에 강남권에 진입하려는 수요가 적지 않겠지만, 경기 침체로 ‘실탄’이 부족한 상황이다. 정부가 대출 문턱을 낮추지 않는 한, 가격·거래량이 광범위한 지역에서 동반 상승하기는 힘들다는 얘기다.
잠실·삼성·대치·청담동 일대 아파트 단지 등 주요 재건축·재개발 사업지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유지한 점도 대세 상승론의 힘을 빼는 대목이다. 서울시도 이들 지역은 관리처분계획 인가 후 투기 가능성이 낮아지면 규제 해제를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일부 지역에서 집값이 올라도 이를 규제 완화 영향으로 간주하기는 어렵다”며 “정부의 대출 축소 기조를 감안하면 당장 큰 부작용은 없다고 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집값은 기본적으로 수요와 공급이 결정하기 때문에 그간 규제로 억눌렀던 가격이 움직이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인기 아파트를 중심으로 갭투자가 돌아올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린다. 매수자가 부족한 자금을 임차인을 들여 전셋값으로 충당하는 것이다.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는 매수자에게 실거주 의무가 부여돼 불가능한 방식이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서울 외곽은 아직 집값이 떨어지고 있고 비수도권 미분양 주택도 많다”면서도 “강남권은 이미 호가가 강세를 보이는 만큼, 봄 이사철에 갭투자와 거래량이 늘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갭투자 수요는 '똘똘한 한 채'로 몰릴 가능성을 높인다. ‘딱 한 채를 산다면 오를 곳을 산다’는 얘기다. 당장 실거주하지 못해도 주거 환경이 좋은 지역에 내 집을 마련하기를 원하는 실수요자도 있다. 이른바 지역별 ‘대장 아파트’는 매매시장 분위기가 매도자 우위로 재편된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