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알림 동의 (크롬브라우저만 가능)
한국일보에
로그인하면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공공장소에서 사용하는 컴퓨터에서는
로그인 유지 기능 사용에 유의 바랍니다.
입력하신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증메일이 발송되었습니다. 해당 메일 계정 확인바랍니다. (유효시간:15분)
비밀번호를 찾으실 아이디를
입력해주세요.
비밀번호가 변경되었습니다.
유효 시간이 종료되었습니다.
다시 인증메일을 발송해주세요.
보안을 위해 비밀번호와 자동입력 방지문자를 함께 입력 바랍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일보 회원가입이 완료 되었습니다.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뉴스+ • 2024.08.12
정영애 씨는 제주 귀덕2리 바다에서 40년 넘게 해녀 생활을 해왔습니다.
그가 처음 보았던 바다는 우뭇가사리와 오분자기, 소라가 가득했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해양 오염이 심각해지며 제주 바다는 예전의 푸르름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바다가 더워져서 잠수복과 모자에 구멍을 내야 할 정도라는데요.
정영애 씨에게는 어머니의 품 같다는 제주 바다.
우리는 그 바다를 다시 찾을 수 있을까요?
우리에게는 과연 얼마의 시간이 남아있을까요?
* 해양 쓰레기와 지옥으로 변한 바다에 대한 더 자세한 이야기는 한국일보 기획 기사 '추적 : 지옥이 된 바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