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이 바로 창조경제의 주체
‘창업이 더 안전’ 인식 필요
창업 위한 제도적 문턱 낮춰야
조동성 서울대 명예교수·안중근의사기념관 관장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사에서 '창조경제'를 제시하면서 "창조가 무엇인가"에 대한 논란이 시작되었다. 창조는 기업이 하는 것이고, 기존 기업보다는 창업 기업이 창조에 대한 DNA를 더 많이 가지고 있다. 서울대에서 2000년부터 창업경영을 가르쳐온 나에게 창조경제는 '창업경제'로 다가온다. 창업경제는 "창업이 활성화되는 경제"이다. 국민 누구던지 쉽게 창업을 하고, 창업에서 성공하는 확률이 20%에서 30%, 40%로 높아지는 경제이다.
창조경제를 창업경제로 규정하면 정부와 민간의 역할이 명쾌하게 정립된다. 정부는 창업에 대한 문턱을 낮추는 동시에 창업에서 실패한 사람들에게 재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창업 조건을 완화하고, 창업자금이 원활하게 융통되도록 생태계를 조성하며, 창업자가 실패하더라도 신용불량자로 전락하지 않고 제2, 제3의 창업을 시도할 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
민간, 즉 우리 국민은 창업 주체이다. 우리나라가 창업경제를 만들어내지 못한다면 정부를 탓할 것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 책임을 느껴야 한다. 창업이 성공하는 경우 혜택은 우리 국민들이 누리기 때문이다. 지금 국민들, 특히 젊은이들은 창업을 기피한다. 창업보다는 중소기업, 중소기업보다는 대기업, 대기업보다는 공기업을 선호한다.
최근 졸업을 앞둔 대학생들과 나눈 대화를 소개한다. 나는 "인생에는 안전한 길과 위험한 길이 있다"고 화두를 떼었다. 그 다음 "직장을 선택하는 것과 창업을 하는 것 중 어느 쪽이 안전하고 어느 쪽이 위험한가?"하고 물어보았다. 학생들은 "직장이 안전한 길이고 창업이 위험한 길"이라고 대답했다. 내 답변은 달랐다. "직장은 피라미드 조직이다. 신입사원에서 한 단계 한 단계 위로 올라갈 때마다 적게는 2대1, 많게는 100대 1, 1,000대1의 경쟁을 뚫어야 한다. 기업에서 동료와의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아 65세까지 자리를 유지할 수 있는 사람은 천명, 만 명 중 한 명도 안 된다. 반면 창업은 성공하는 과정에서 위험이 따르지만 한번 성공하면 자신이 고용주가 되어 65세는 물론, 80세까지, 원하면 평생 직장을 가질 수 있다. 내게는 직장이 위험한 길이고 창업이 안전한 길로 보인다."
학생들이 질문했다. "창업을 하더라도 80%는 실패하지 않습니까?" 나는 동의했다. "맞다. 창업을 하면 처음 시도에서 20%밖에 성공하지 못한다. 그러나 두 번째, 세 번째 시도에서는 성공률이 50%, 80%로 올라간다. 한 사람이 한 번만 창업을 사회에서는 성공률이 20%이지만, 한 사람이 두 번 창업을 하는 사회에서는 60%, 세 번 창업을 하는 사회에서는 92%로 올라간다. 연속해서 세 번만 창업하면 열명 중 아홉 명 이상 성공하는 길, 이 것이 바로 창업이다. 이만큼 안전한 길이 또 어디 있겠는가?"
학생들이 또 질문했다. "우리 나라에서는 첫 창업에서 실패한 사람에게 신용불량자 낙인이 찍혀서 창업에 제도전할 기회가 없지 않습니까?" 내 답변은 달랐다. "은행은 창업기업을 포함한 중소기업에 융자를 해줄 때 3자 보증을 대폭 줄였다. 그러나 창업자 개인의 연대보증은 계속 요구하고 있다. 창업자가 한 번 실패하면 신불자가 된다. 정부는 창업자의 연대보증을 요구하는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그러나 여러분이 정부의 제도 변화를 마냥 기다릴 수는 없다. 여러분은 가급적 최소한의 창업자금, 예컨대 5천만 원 만을 가지고 사업을 하되, 창업자금이 고갈되는 순간 기존 사업에 미련을 가지면서 은행에 손을 벌리지 말고 과감하게 폐업을 해야 한다. 숨을 고른 다음 다시 한번 5천만 원을 조달해서 두 번째 창업을 하라. 그래도 성공이 가시권에 들어오지 않으면 두 번 째 5천만 원이 고갈되는 순간 폐업을 하라. 약간의 시간을 둔 다음 세 번째로 창업하라. 차입금과 자본금 간의 균형을 맞추어야 한다는 재무 레버리지 이론은 대기업에 적용되는 이론일 뿐이다. 창업기업, 중소기업이 대기업처럼 융자에 의존하면 안 된다. 창업자가 융자를 하지 않는 한 실패해도 창업은 계속할 수 있다. 5천만 원이 작은 돈은 아니지만 의지가 있는 창업자가 조달하지 못할 정도로 큰 돈은 아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