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김월회 칼럼] 깊음에서 비롯되는 것들

입력
2019.02.26 04:40
29면
0 0

깊음은 물이나 산 같은 데만 있는 건 아니다. 웅장한 성당이나 그윽한 사찰에만 자리하는 것도 아니다. 그것은 사람에게도 있고 사회나 국가에도 있으며 생각이나 지식, 기술은 물론 인생이나 예술, 문명에도 존재한다.

그것은 노인의 패인 미소에, 아이의 해맑음에, 도축을 앞둔 소의 눈망울에도 깃든다. 여행 중 마주치는 풍경에, 일상서 접하는 인공적 경관에도 깊음은 스며들어 있다. 어쩌면 우리 삶을 구성하고, 삶터에서 마주하는 것들 대부분에 깊음이 배어 있을지도 모른다.

그렇다고 하여 사람들이 깊음을 잘 보아내는 건 아니다. 말이 깊거나 속이 깊으면 또 학식이 깊거나 조예가 깊으면 분명 좋은 일임에도, 깊이를 포착하는 일은 언제부턴가 일상서 접하기 힘든 바가 되었다. 왜일까. 깊음이 이익의 원천이나 즐거움의 터전 노릇을 못하기 때문이다. 깊음이 이익을 안겨주면 알려주지 않아도 알아서 취할 것이요, 깊음이 재미를 유발하면 가만 놔둬도 애써 찾을 것이다. 좋다한들 이익도 되지 않고 재미도 없으니 깊음은 없어도 별로 불편하지 않았음이다.

개인 차원서만 그러한 게 아니다. 작금의 세상 풍조는 깊음을 연신 밀어내고 있다. 경쟁, 성과, 효율 등의 행세는 깊음이 깃들 시간을 허락지 않는다. 깊음을 갖춰갈 기회가 여간해선 주어지지 않는다. 미래를 내다보려 하지 않고 현실만을 중시하며, 근본의 치유보다는 당장의 통증 완화를 지향한다. 진지함은 ‘갑분싸’를 유발할 뿐 좌중을 깊음으로 인도하지 못하고, 진중한 생각은 톡톡 튀는 아이디어만큼 선호되지 않는다. 여운 깊은 미소보다는 휘발성 강한 웃음이 각광받는다. 한마디로 깊음은 우리 사회서 먹힐 수 있는 ‘스펙’이 되지 못한다. 게다가 깊음을 갖추는 데는 시간과 노력이 제법 든다. 깊음이 이래저래 우리 생활에서 멀어진 저간의 사정이다.

그런데 깊음을 이렇게 멀리해도 별 문제 없는 것일까. 인류의 선한 진보는 삶과 삶터에 자리 잡은 깊음으로부터 추동되었다. 개인의 삶부터 국가사회의 존속에 이르기까지 깊음은 없어서는 안 될 것이었다. 이는 내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해서 부정되는 바가 아니다. 동서고금의 역사에서 깊음의 역능은 차고 넘치게 입증됐기에 그렇다. 깊음은 문명의 덕(德)이었다. 그럼에도 깊음은 우리 사회서 꾸준히 축출되고 있다. 누군가가 그것을 치밀하고도 집요하게 밀어내고 있다. 그렇지 않고는 이리 오랜 세월동안 정치인의 막말이 또 언론의 부추김이 그들의 생존 기반이 되고 영향력 강화의 원천이 되지는 못했을 것이다. ‘금수저’로 태어났다는 이유 하나로 기업을 좌우하는 일 따위도 반복되지 않았을 것이다.

깊음을 우리 삶과 사회의 기본 가운데 기본으로 다시 갖춰야 하는 까닭이다. 그래야 깊이 없는 이들에게 힘이 부여됨으로써 야기되는 부조리와 불상사가 더는 재발되지 않도록 막아낼 수 있다. 나와 우리의 옅음에 빌붙어 사는 기생충 같은 존재가 도리어 주인인 양 행세하는 꼴도 끊어낼 수 있다. 정치적 지지도 이유 없는 갈등이나 근거 없는 편견, ‘묻지마’ 식 증오에서가 아니라, 몇몇 선진국처럼 양식과 이성, 진실 등에서 비롯될 수 있게 된다. 몇 년 전 광장과 거리, 삶터 곳곳에서 촛불로 밝혀 올린 공정함과 평화, 행복, 인간다움 같은 우리 시대의 소명과 가치도 지속 가능하게 실현해갈 수 있게 된다.

이것저것 다 떠나서 나 자신을 위해서라도 깊음을 꼭 갖추어야 한다. 깊어져야 비로소 깃드는 것들이 있기에 그렇다. 이를테면 눈에 보이는 것만 보지 않고, 당장 이익이 되는 것만 생각지 않으며, 편해 보인다고 하여 그 길만을 걸으려 하지 않는 그러한 역량들이다. 만사만물은 결코 어느 한 측면만을 지니고 단일한 관계만을 맺고 있지는 않다. 깊이가 없거나 부족하면 직간접적으로 연동되어 있는 다수의 측면을 읽어내지 못한다. 볼 수 있는 것만, 보고 싶은 것만 보는 옅음으로는 이들을 보아내지 못한다. 삶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려면 혹은 실패 확률을 줄이려면, 보이지 않지만 또 보고 싶진 않아도 봐야 하는 것들을 보아내고 읽어내야 한다.

그래서 깊음을 읽어낼 줄 앎은, 그러기 위해 내가 깊어짐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적어도 성공하고자 하거나 실패하지 않고자 한다면 말이다. 깊어짐으로써 얻는 이로움이 설령 즉시적이지는 않을지라도 이를 반드시 지녀야 하는 이유다. 게다가 우리를 둘러싼 ‘4차 산업혁명’으로 대변되는 문명조건은 내 안에 깊이를 갖출 필요성을 한층 강조해준다. 이 시대가 기본으로 요구하는 창의나 협업, 융복합 같은 역량은 옅음에는 깃들 수 없는 깊음의 덕목이기에 그렇다.

남을 사랑하지 않음은 자신을 사랑할 줄 모르기 때문이라는 말이 있다. 이를 패러디하면 남에게 깊음을 바라지 않음은 나에게 깊음을 가할 줄 모르기 때문이라는 말이 된다. 물론 깊음을 도모할지 여부는 어디까지나 스스로 결정할 몫이다. 다만 나의 옅음이 다른 옅은 인간에게조차 기름진 먹잇감이 된다는 사실 정도는 염두에 둬야 하지 않을까 싶다.

김월회 서울대 중어중문과 교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