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3년 인고의 시간 품은 목탁… 청아한 울림, 각박한 세상 보듬어

입력
2022.10.29 04:00
14면
0 0

[방방곡곡 노포기행] <94> '영천목탁공예사'
안종식 대표, 생활고에 14세에 목공일 시작
목공예품 만들다 목탁에 관심… 40년 한길
살구나무 재료로 정성 "전국 최고의 울림"
"보시하는 마음… 돈 좇기보다 좋은 일 할 것"

안종식(가운데)씨와 부인 김경옥(왼쪽)씨, 아들 진석씨가 40년 넘게 운영해 온 영천목탁공예사 작업장 앞에서 직접 만든 목탁을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안종식(가운데)씨와 부인 김경옥(왼쪽)씨, 아들 진석씨가 40년 넘게 운영해 온 영천목탁공예사 작업장 앞에서 직접 만든 목탁을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지난 26일 대구~포항 간 고속도로를 이용해 대구에서 차로 40분가량 달리자, 북영천 나들목이 눈에 들어왔다. 황금들녘과 과수원 사이 농로를 따라 영천시 언하동의 한 좁은 골목에 들어서자, 청아한 목탁 소리가 흘러나왔다. 하지만 주변을 아무리 둘러봐도 목탁 소리가 들려올 절은 찾을 수 없었다. 대신 커다란 목판에 양각으로 새긴 ‘영천목탁’ 네 글자가 나타났다. 양쪽 나무 문을 활짝 열어젖힌 작업장에는 주인 안종식(64)씨가 아들 진석(36)씨와 나란히 서서 뭉툭한 나무토막을 걸어 놓고 연신 기계를 돌리고 있었다. 작은 도시 영천에서도 외진 곳에 터를 잡은 영천목탁공예사는 '최고의 소리'를 만든다는 자부심 하나로 40년간 목탁 제조라는 한우물만 파고 있다.

영천목탁공예사의 대표 안종식(왼쪽)씨와 아들 진석씨가 각자 나무를 깎는 기계 앞에 서서 목탁을 만들고 있다.

영천목탁공예사의 대표 안종식(왼쪽)씨와 아들 진석씨가 각자 나무를 깎는 기계 앞에 서서 목탁을 만들고 있다.


열네 살, 가난 벗어나고파 시작한 목공일

영천목탁공예사는 입구부터 목공 제품으로 가득 차 있었다. 큰 나무를 통째로 베어 내 만든 커다란 탁자부터 의자와 각종 선반, 장식품까지 나무가 아닌 물건을 찾기 어려웠다.

주인 안종식씨는 열네 살의 어린 나이에 밥만 들어 있는 도시락을 싸 들고 학교 대신 집 근처 목공소를 드나들며 목공 기술을 배웠다. 목수였던 아버지가 불의의 사고로 세상을 떠난 뒤, 극심한 생활고를 겪으면서 어려운 생계에 보탬이 되고자 학생이 아닌 소년공의 길을 택했다.

간판도 없는 작은 공장에서 처음 만든 목제품은 팽이나 망치의 손잡이와 같은 간단한 물건이었다. 종일 서서 톱밥 가루를 마시며 허리 한 번 펴지 못한 채 나무를 깎는 일은 다 큰 성인한테도 고된 일이었지만, 안씨는 꿋꿋하게 버텨냈다. 안씨는 "당시 오전 8시에 출근해 오후 7시까지 꼬박 일했는데, 집에 오면 그야말로 파김치가 됐다”며 “무척 힘들었는데 목수의 피가 흐르는지 차츰 실력이 늘어 욕심이 생겼다”고 말했다.

목수 일에 점점 속도가 붙기 시작한 안씨는 새로운 목공 기술을 찾아 전국의 유명 목공소를 찾아다녔다. 가구를 만드는 공장부터 휴게소나 관광지에서 파는 기념품을 만드는 작업장까지 뛰어난 실력자가 있다는 얘기만 들리면 어디든 달려갔다. 이런 노력으로 안씨는 스무 살도 되기 전에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목공 기술을 익힐 수 있었다. 안씨는 “나무토막 하나만 있으면 못 만드는 게 없었다”며 “당시 돈도 많이 벌었다”고 말했다.

목공소가 몰려 있는 대구 동구 불로동에 안착한 그는 가내수공업으로 불교용품을 만들어 팔다 어느 날 목탁만 만들기로 결심했다. 안씨는 “불심이 깊은 어머니가 기도하는 모습에 문득 돈만 좇기보다 좋은 일을 하고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다른 물건을 팔면 돈을 많이 벌 수 있었지만, 그간 익힌 모든 기술을 목탁에만 쏟아붓고 싶었다”고 말했다.

경북 영천시 언하동에 위치한 영천목탁공예사의 작업장 전경.

경북 영천시 언하동에 위치한 영천목탁공예사의 작업장 전경.


목탁 하나 만드는 데 걸리는 시간, ‘3년’

안씨가 전 재산을 모두 투자해 지금의 영천 터에 자리 잡은 게 1989년이다. 고향 지명을 딴 ‘충북공예사’로 간판을 달고 본격적으로 목탁 제작에 뛰어들었다. 가장 좋은 소리를 만들겠다고 다짐한 그는 나무를 고르는 작업부터 신중하게 접근했다. 박달나무와 대추나무, 은행나무 등 목탁으로 제조되는 모든 나무를 모아 실험을 거듭했다. 안씨가 택한 나무는 살구나무였다. 국내에서 구하기 쉽지 않은 수종이었지만, 너무 무르거나 단단하지 않아 가장 청아한 소리를 냈다.

살구나무가 목탁으로 탄생하기까지 안씨는 단 한 과정도 허투루 하지 않는다. 완성품 하나가 탄생하기까지 무려 3년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 어렵게 구한 살구나무를 최소 2년간 상하지 않도록 건조시키는 게 작업의 시작이다. 이어 도끼로 나무의 반을 갈라 토막으로 만든 후, 가마솥에 물을 끓여 24시간 수증기로 찐다. 열기를 식히고 다시 1주일간 말린 뒤, 눈사람 모양의 형태를 만드는 목선반 작업에 들어간다. 속을 파내고 손잡이까지 만든 뒤 다시 1~2년간 그늘에서 말리는 건조작업을 거친다.

안종식씨가 실내에서 건조 중인 목탁을 살펴보고 있다. 3년간 말려 찌고 깎은 뒤 다시 말리지만 완성품이 되는 목탁은 10개 중 3개 정도에 불과하다. 영천=김정혜 기자

안종식씨가 실내에서 건조 중인 목탁을 살펴보고 있다. 3년간 말려 찌고 깎은 뒤 다시 말리지만 완성품이 되는 목탁은 10개 중 3개 정도에 불과하다. 영천=김정혜 기자

끝이 아니다. 3년 넘게 공들여 말린 목탁은 건조상태가 온전해야 완성품이 된다. 표면이 갈라져 틈이 있거나 두들겨 소리가 좋지 않으면 가차 없이 땔감으로 쓴다. 제대로 건조된 목탁은 사포 작업 후 다시 소리 평가에 들어간다. 이때도 안씨의 마음에 들지 않으면 탈락이다. 3년간 찌고 말린 목탁 10개 중에 진짜 목탁이 되는 건 3개 정도에 불과하다. 안씨는 “지난 40년간 목탁을 만들면서 단 하루도 대충 작업하지 않았다”며 “목탁은 인내와 정성을 쏟아야 탄생하는 물건”이라고 말했다.

목탁 제작 과정에서 울림통인 나무 속을 파내는 작업은 최고의 난도로 꼽힌다. 동전만 한 크기의 물고기 눈처럼 생긴 구멍으로 긴 송곳 같은 도구를 넣어 파내는데,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유지해야 좋은 소리가 난다. 안씨는 3년마다 한 번씩 쇠를 불에 달궈 만든 도구를 직접 제작해 사용한다. 그래야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정확하게 나무 속을 파낼 수 있기 때문이다.

안종식씨가 목탁의 속을 파내기 전 오래 노하우와 경험으로 직접 쇠를 달궈 만든 제조 도구를 살펴보고 있다.

안종식씨가 목탁의 속을 파내기 전 오래 노하우와 경험으로 직접 쇠를 달궈 만든 제조 도구를 살펴보고 있다.


"보시한다 각오로 택한 길…후회 없어"

영천목탁공예사는 목탁가게 중 명실상부 전국 최고다. 하지만 최근 인구가 줄고, 불자 수가 감소하면서 매출도 하향세다. 한때 직원이 8명에 달했지만 지금은 부인과 아들이 돕는 수준이다. 아들 진석씨는 20대 후반이었던 8년 전 전도유망한 직장을 그만두고 목탁 제조의 대를 잇겠다고 자청했다. 안씨는 “맥이 끊어질까 걱정했는데 아들이 나서줘 감사하고 기특했다”고 말했다.

영천목탁공예사 위치. 그래픽=송정근 기자

영천목탁공예사 위치. 그래픽=송정근 기자

뒤늦게 합류한 아들이지만 지금은 없어서는 안 될 버팀목이다. 진석씨는 기술 연마에서 한발 더 나아가 인터넷으로 제품 홍보에도 주력하고 있다. 올 초 목공예기술 자격증에 이어 문화재수리자격증도 따냈다. 불상 등 문화재 복원 기술로 이름을 알리고 있다. 지난해 8월에는 서울국제불교박람회에서 열린 한국전통문화 우수상품전에 참가해 오방색을 주제로 만든 현대적 목탁으로 대상을 받았다. 진석씨는 “아버지처럼 서두르지 않고 묵묵히 배워 나갈 생각”이라며 "깊은 감동의 울림으로 세상의 번잡함을 떨쳐낼 수 있는 목탁을 만드는 것이 가장 큰 목표다”고 말했다.

안진석씨가 지난해 서울국제불교박람회에서 열린 한국전통문화 우수상품전에 출품해 대상을 수상한 오방색 목탁과 상패를 내보이고 있다.

안진석씨가 지난해 서울국제불교박람회에서 열린 한국전통문화 우수상품전에 출품해 대상을 수상한 오방색 목탁과 상패를 내보이고 있다.


영천= 글ㆍ사진 김정혜 기자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를 작성한 기자에게 직접 제보하실 수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리며, 진실한 취재로 보답하겠습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