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차별 없는 날까지···" 명퇴도 정년도 없는 '휠체어 출근'

입력
2024.01.13 16:30
수정
2024.01.14 02:25
14면
0 0

25년 전 ‘지하철 리프트 추락사고’ 생존자의 오늘

지난 5일 이규식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공동대표가 서울지하철 4호선 혜화역 승강장에서 침묵시위를 하던 중 경찰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중증 뇌병변 장애인인 그는 노들야학 학생 시절이던 1999년 6월, 혜화역에 갔다가 장애인용 리프트에서 추락사고를 당한 뒤로 이동권 운동에 매진해 왔다.

지난 5일 이규식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공동대표가 서울지하철 4호선 혜화역 승강장에서 침묵시위를 하던 중 경찰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중증 뇌병변 장애인인 그는 노들야학 학생 시절이던 1999년 6월, 혜화역에 갔다가 장애인용 리프트에서 추락사고를 당한 뒤로 이동권 운동에 매진해 왔다.


서울지하철 4호선 혜화역 2번 출구를 나서며 바닥을 살피면 '장애인 이동권 요구현장' 동판을 만날 수 있다. ‘1999년 6월 28일, 혜화역 장애인(이동권연대 투쟁국장 이규식) 휠체어 추락 사고 이후, 여기서 이동권을 외치다’라고 새겨져 있다.

서울지하철 4호선 혜화역 2번 출구를 나서며 바닥을 살피면 '장애인 이동권 요구현장' 동판을 만날 수 있다. ‘1999년 6월 28일, 혜화역 장애인(이동권연대 투쟁국장 이규식) 휠체어 추락 사고 이후, 여기서 이동권을 외치다’라고 새겨져 있다.

인권운동가인 이규식씨의 휠체어는 여전히 혜화역 승강장에 멈춰 서 있었다. 지난 8일 오전 6시 40분, 서울지하철 4호선 혜화역 동대문 방향 승강장 5-2. 중증 뇌병변 장애인 이씨는 출근객이 몰리는 시간을 피해 일찌감치 현장에 도착했다. 시민들을 가득 실은 지하철은 주기적으로 역사를 오갔고, 이씨는 말없이 천장을 응시했다. 한 시간쯤 지났을까, 내내 비었던 승강장은 출근시간을 앞두고 경찰과 지하철 보안관 200여 명으로 채워졌다.

평일 오전 8시 서울지하철 4호선 혜화역 동대문방면 승강장 5-2 주변은 혼잡하다.

평일 오전 8시 서울지하철 4호선 혜화역 동대문방면 승강장 5-2 주변은 혼잡하다.

“특정장애인단체의 불법 시위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승강장이 혼잡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특정 장애인단체 불법 시위로 인해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지하철이 승강장을 오갈 때마다 "장애인 단체의 불법 시위에 의해 승강장이 혼잡하다"는 안내 방송이 역사 전체에 울려 퍼졌다. 매일 같은 시간 같은 내용의 안내가 되풀이될수록 ‘장애인들이 구태여 아침 일찍 나와서 ‘선량한 일반 시민’의 출근을 방해하고 있다’는 인식은 강화되는 듯했다.

서울교통공사와 경찰 측 채증 카메라 대부분은 휠체어 장애인 활동가 한둘에게 집중돼 있다.

서울교통공사와 경찰 측 채증 카메라 대부분은 휠체어 장애인 활동가 한둘에게 집중돼 있다.


까치발을 세워 지하철 보안관 어깨너머로 시선을 옮기자 혼잡을 야기하는 존재로 지목된 이들의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이날 지하철 선전전에는 이씨를 포함한 휠체어 장애인 둘과 비장애인 활동가 네댓 명이 참여했다. 승강장을 채운 대부분은 경찰과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들이었다. 오전 8시를 넘기자 압도적인 수의 지하철 보안관들이 ‘방패’를 앞세워 이씨와 동료들을 에워쌌다. 보안관들이 든 방패는 사실 안전매트이다. 애당초 이 장비는 휠체어 장애인이 안전하게 지하철에 탑승할 수 있도록 지하철역 곳곳의 틈을 메우는 등의 용도로 제작됐겠지만 실상은 달랐다. 엉뚱하게도 안전매트는 장애인의 목소리가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틈을 막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었다.

지난 3일 서울지하철 4호선 혜화역 승강장에서 침묵시위에 나선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활동가들 앞으로 지하철 보안관들이 '방패'를 앞세워 진을 치고 있다.

지난 3일 서울지하철 4호선 혜화역 승강장에서 침묵시위에 나선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활동가들 앞으로 지하철 보안관들이 '방패'를 앞세워 진을 치고 있다.

공권력은 특정 조건에서 더욱 강하게 작동하곤 한다. 그 대상이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약자이거나, 지켜보고 감시하는 눈이 적을 때 그러하다. 지하철 보안관들 뒤에 서서 팔짱을 낀 채 유독 고성을 내지르는 사람이 눈에 띄었다. 그는 서울교통공사에서 고객안전지원센터장을 맡고 있는 인물인데, 준공무원임에도 장애인 활동가들을 향해 삿대질을 해가며 "뗑깡(뇌전증, 간질) 부리지 말라"는 표현도 서슴지 않았다. 말미엔 용산(대통령실)이나 광장으로 나가라고 훈수를 두기도 했다. 그가 계속해 소리치는 동안 언어장애를 가진 이씨의 목소리는 묻혔다. 이씨와 활동가들은 이날 특별교통수단(장애인콜택시) 예산 증액 건과 '서울시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 노동자 해고 건으로 선전전을 진행하고자 계획했다.

이 대표와 그의 반려견 ‘토고’가 오전 6시경 출근객들이 몰리는 시간을 피해 지하철로 이동하고 있다.

이 대표와 그의 반려견 ‘토고’가 오전 6시경 출근객들이 몰리는 시간을 피해 지하철로 이동하고 있다.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공동대표인 이씨는 이날도 경찰에 의해 혜화역에서 강제 퇴거당했다. 시민들의 비난을 감수하며 현장을 지켜온 이씨에게 혜화역은 특별한 공간이다. 그는 1999년 6월 승강장으로 가는 계단 경사면에 설치돼 있던 휠체어 리프트를 이용하다 추락사고를 당했다. 운 좋게 살아남았지만, 공사 측은 장애를 가진 이씨에게 책임을 돌렸다. 1년 넘는 공방 끝에 법원은 이 대표의 손을 들어주었다. 그 결과 혜화역에는 전국 최초로 양방향 엘리베이터가 설치됐다. 혜화역 2번 출구를 나와 바닥을 보면 이곳이 이동권 투쟁의 현장임을 알리는 동판이 설치돼 있다.

지난 3일 지하철 승강장에서 강제 퇴거당한 활동가들이 혜화역 2번 출구 앞으로 자리를 옮겨 거리 선전전을 하고 있다.

지난 3일 지하철 승강장에서 강제 퇴거당한 활동가들이 혜화역 2번 출구 앞으로 자리를 옮겨 거리 선전전을 하고 있다.

이 대표는 20년 넘게 장애인 이동권을 위해 저항하는 동안 사람들 인식이 많이 변했다고 했다. 그는 “예전엔 ‘왜 병신들이 나와서 싸우고 있어. 집에나 있을 것이지’라고 말하는 이가 많았다면, 요즘은 ‘아... 장애인들이 나와서 싸우는구나, 무슨 일이지’라고 받아들이는 시민들도 많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보통사람들이 일상에서 당연하게 누리는 것들을 지탱하고 있는 것은 보이지 않는 차별과 착취일지도 모른다”며 “그 차별을 드러내고 저항하고자 했다”고 밝혔다.

지난 5일 이 대표가 서울지하철 4호선 혜화역 승강장에서 침묵시위를 하던 중 퇴거불응, 업무방해, 철도안전법 위반 혐의로 경찰에 현행범으로 체포되고 있다. 그는 저서 <이규식의 세상 속으로>에서 '어려서 학교도 못 다니고 시설에 처박혀 지내야 했던, 이동하다 목숨을 잃을 뻔했던, 그리고 그 이동권 하나를 얻어 내겠노라 평생을 싸우고 있는 내 삶 자체가 차별의 증거다'라고 말했다.

지난 5일 이 대표가 서울지하철 4호선 혜화역 승강장에서 침묵시위를 하던 중 퇴거불응, 업무방해, 철도안전법 위반 혐의로 경찰에 현행범으로 체포되고 있다. 그는 저서 <이규식의 세상 속으로>에서 '어려서 학교도 못 다니고 시설에 처박혀 지내야 했던, 이동하다 목숨을 잃을 뻔했던, 그리고 그 이동권 하나를 얻어 내겠노라 평생을 싸우고 있는 내 삶 자체가 차별의 증거다'라고 말했다.

지난 2일부터 일주일에 걸쳐 이규식 대표의 휠체어를 따라 함께했다. 마지막 날 밤 문득 이 대표에게 은퇴에 관한 생각을 물었다. “나의 운동(저항)엔 은퇴가 없을 것 같다. 집회에 나가야만 싸움이 있는 게 아니라, 지금 당장 엘리베이터만 타도 차별을 마주하고 싸움을 피할 수 없는 게 현실이기 때문이다. 언제쯤 안 싸워도 존엄할 수 있는 날이 올까 생각해봤다. 결국 내가 죽어야 은퇴다.” 나의 어리석은 질문에 그는 간명하게 답했다.

지난 2001년 이곳 지하철 4호선 오이도역에서 장애인 노부부가 탄 장애인용 리프트가 추락하면서 부인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를 계기로 본격적인 장애인 이동권 투쟁이 전개됐다. 이달 22일은 ‘오이도 리프트 사고’ 23주기가 되는 날이다.

지난 2001년 이곳 지하철 4호선 오이도역에서 장애인 노부부가 탄 장애인용 리프트가 추락하면서 부인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를 계기로 본격적인 장애인 이동권 투쟁이 전개됐다. 이달 22일은 ‘오이도 리프트 사고’ 23주기가 되는 날이다.


편집자주

인디언에겐 말을 타고 달리다 '멈칫' 말을 세우고 내려 뒤를 돌아보는 오래된 의식이 있었습니다. 발걸음이 느린 영혼을 기다리는 시간이라고 합니다. [하상윤의 멈칫]은 치열한 속보 경쟁 속에서 생략되거나 소외된 것들을 잠시 되돌아보는 멈춤의 시간입니다.

하상윤 기자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를 작성한 기자에게 직접 제보하실 수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리며, 진실한 취재로 보답하겠습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