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시진핑, '딥시크' 량원펑·'미운털' 마윈 만났다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시진핑, '딥시크' 량원펑·'미운털' 마윈 만났다

입력
2025.02.17 21:00
수정
2025.02.17 22:56
8면
0 0

알리바바·비야디·화웨이 수장 불러 좌담회
민간 기업 역할 강조, 국가 경제 기여 주문
민영 기업 탄압했던 시진핑 태도 변화 주목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이 17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민간 기업 좌담회에서 딥시크 창업자 량원펑과 악수하는 모습이 방송 뉴스로 보도되고 있다. 베이징=로이터 연합뉴스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이 17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민간 기업 좌담회에서 딥시크 창업자 량원펑과 악수하는 모습이 방송 뉴스로 보도되고 있다. 베이징=로이터 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7일 민영 기업 심포지엄(좌담회)을 열고 알리바바와 샤오미, 비야디(BYD) 등 중국 거대 첨단 기업 수장을 만나 국가 발전에 이바지할 것을 주문했다. 전 세계 인공지능(AI) 업계에 파란을 일으킨 스타트업 딥시크 창업자 량원펑과도 대면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미중 간 무역·기술 전쟁이 본격화하자, 시 주석이 '민영 기업 기 살려주기' 행보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관영 신화통신과 중국중앙TV(CCTV) 등에 따르면 이날 좌담회에는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 화웨이 창업자 런정페이, 샤오미 회장 레이쥔, 중국 1위 전기차 기업 비야디 회장 왕촨푸 등 중국의 내로라하는 기업인들이 모두 참석했다. 중국 정부 측에서는 왕후닝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주석, 리창 국무원 총리, 딩쉐샹 부총리가 동석했다. 시 주석이 주재하는 민간 기업 좌담회는 2018년 11월 이후 5년 만이다.

가장 눈길을 끈 인물은 단연 딥시크 량원펑이었다. 량원펑은 지난달 AI모델 딥시크R1을 출시한 뒤 공개 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지만, 딥시크 돌풍을 타고 시 주석의 남다른 관심을 받는 기업인 대열에 단숨에 합류했다.

딥시크 창업자 량원펑(오른쪽). 관영 중국중앙TV(CCTV) 캡처

딥시크 창업자 량원펑(오른쪽). 관영 중국중앙TV(CCTV) 캡처

이날 시 주석은 민간 기업들이 중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역할과 위상에 대해 연설했다. 그는 "민간경제 발전은 큰 잠재력이 있고 많은 민간 기업과 기업가들이 두각을 나타내는 것은 시의적절하다"면서 "선부(先富)가 공동부유(共富·공부)를 촉진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소득 재분배에 방점을 둔 '공동부유'와 덩샤오핑이 제시한 '일부가 먼저 부자가 되라'는 '선부론'의 중요성을 동시에 강조한 것이다.

시 주석은 민간 경제 발전 과제로 △공정한 시장 경쟁의 장애물 제거 △민간 기업의 자금 조달 어려움 해결 △민간 기업의 채무 체납 문제 해결 △부당한 압력 정비 및 합법적 권익 보호 등을 언급했다. 그러면서 기업들에 "중국 특색 사회주의의 건설자가 될 것과 자주 혁신 강화, 새로운 질적 생산력 육성, 기업 지배구조 및 리스크 방지 메커니즘 완비, 공익 자선 사업 적극 참여" 등을 당부했다.

마윈 중국 알리바바그룹 창업자가 2018년 10월 스위스 제네바 세계무역기구 토론회에서 생각에 잠겨 있다. 제네바=AFP 연합뉴스

마윈 중국 알리바바그룹 창업자가 2018년 10월 스위스 제네바 세계무역기구 토론회에서 생각에 잠겨 있다. 제네바=AFP 연합뉴스

주요 외신들은 중국 경제가 내수 침체와 미국발(發) 무역 전쟁이 겹쳐 어려움을 겪는 와중에 마련된 자리라는 점에 주목했다. 시 주석이 민간 기업들과 힘을 합쳐 난국을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대내외적으로 보여주려 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마윈의 등장도 이 같은 관측을 뒷받침한다. 마윈은 2020년 10월 중국 고위 당국자들이 참석한 한 포럼에서 중국의 금융 규제를 공개 비판했다가 4년간 해외를 떠도는 등 정치적 탄압을 받았다. 이후 중국은 알리바바뿐만 아니라 민간 부문 전반에 대한 규제를 강화했다. 중국 정부로부터 이미 미운털이 단단히 박힌 마윈이 다시 시 주석의 '부름'을 받았다는 사실 자체가 "민영 기업을 못마땅하게 여겼던 중국 지도부의 태도 변화를 방증하는 것"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은 평가했다.

반면 중국 정책연구기관 트리비움은 "이번 좌담회는 리스크(위험)도 있다"며 "시 주석이 민간 기업 대표들을 불러놓고 (기업이) 국가 의지에 따라 번영한다는 점을 강조하면 업계 여론을 악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민영 기업이 사느냐 죽느냐는 결국 중국공산당의 결정에 달렸다는 부정적 인식만 자극하는 역효과를 부를 수도 있다는 뜻이다.

베이징= 조영빈 특파원

관련 이슈태그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