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1차 스마트농업 육성 기본계획'
주요 밭작물 재배지 20% 스마트기술 접목
농진청, 매년 기후적응형 품종 18종 육성
정부가 2029년까지 전국 온실 3분의 1 이상을 스마트팜으로 전환하는 등 향후 5년간 이행할 스마트농업 육성 계획을 수립했다.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후, 노동력 감소, 저조한 자급률 등 농업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선 스마트농업 확산과 고도화가 필수적이란 판단에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1일 이 같은 내용의 '제1차 스마트농업 육성 기본계획(2025~2029)'을 발표했다.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스마트농산업으로 도약한다는 기치 아래, 앞으로 5년간 전국 온실 약 5만5,000헥타르(㏊)의 35%를 스마트팜으로 전환한다. 기계화가 진행 중인 주요 밭작물 주산지 재배면적의 20%에 스마트농업 기술을 1개 이상씩 적용하는 것도 목표다.
정부는 그동안 정보통신기술(ICT) 보급, 기술개발 투자, 인력양성·실증기반 조성, 수직농장 등 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 등을 추진해왔다. 이에 규모화된 스마트팜과 관련 기자재·서비스 기업은 어느 정도 성장하고 있지만, 아직 품목별 전문화된 생산단지와 이를 뒷받침할 전문기업·기술인력은 부족하다는 진단이다.
구체적으론 올해 전국 4개 시·군에 청년 장기 임대형 스마트팜과 연계해 '스마트농업 육성지구'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상 기후 대응차 밭농업 기계화 추진 8개 작물, 5대 과수 품목 주산지를 중심으로 '스마트농업 솔루션'을 보급, 교육과 컨설팅 등 정책사업을 연계 지원한다. 스마트농업 실습 교육을 제공하는 전문교육기관도 현 2개소에서 올해 4개소로 늘린다. 스마트팜 종합자금 지원품목과 규모를 확대하고, ICT시설·장비 지원품목에 과수작물과 수직농장도 추가한다.
드론·로봇 등 노지 스마트농업 기술 고도화와 함께, 자율주행 농기계 보급에 필요한 검정기준과 융자제도 등도 정비할 예정이다. 스마트온실과 수직농장의 표준모델 구축, 호환성과 수출 경쟁력 강화도 주요 추진 과제다. 아울러 스마트농업 연관 우수기업엔 자금, 투자유치 등 정책지원을 집중하고 기자재·서비스 생산 등으로 사업범위 확대를 허용한다는 구상이다. 농식품부는 이달 22일 대전에서 시·도 스마트농업 관계자, 유관기관 대상 정책 설명회를 열어 의견을 수렴한다.
이날 농촌진흥청도 '2025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을 통해 첨단 융복합 기술 개발·보급 계획을 밝혔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고랭지 무·양파·배추 재배지 변동 예측, 매년 18종 내외 기후적응형 품종 육성 등이다. 세계 최초로 온실가스 메탄 저감 유전자(gs3)를 보유한 저메탄 벼 '밀양260호'도 품종 출원, 농가 실증 후 내년부터 보급할 방침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