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여전히 강력... 고용 등 균형 잡혀"
트럼프와의 이견에 "정치 간섭 없이 결정"
관세 정책에는 "인플레 자극 우려 있어"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이 11일 워싱턴 의사당에서 열린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답변을 준비하고 있다. 워싱턴=AFP 연합뉴스](https://newsimg-hams.hankookilbo.com/2025/02/12/beec65e5-44f4-4fc8-b16b-9a17e0f0e3ab.jpg)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이 11일 워싱턴 의사당에서 열린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답변을 준비하고 있다. 워싱턴=AFP 연합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이 11일(현지시간) 당분간 기준금리를 낮추지 않겠다며 "정치적 간섭 없이 자유롭게" 금리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지난달 20일 취임 이후 대놓고 금리 인하를 요구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월권'에 다시 한 번 선을 그은 셈이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상원 은행위원회의 상반기 통화정책 보고 청문회에 출석해 "현재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경제는 여전히 강력하며, (선택할 수 있는) 정책 입장은 이전에 비해 덜 제한적"이라고 덧붙였다. 지난달 29일 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기준금리를 4.25~4.5%로 동결한 뒤 내놓았던 입장과 거의 비슷한 발언이었다.
실제로 지난달 15일 공개된 2024년 12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대비 2.9% 올라 컨센서스(전망치)에 부합했다. 12일 발표되는 올해 1월 CPI도 전월 수준일 것으로 추정된다. 연준의 물가상승률 목표(2%)보다는 다소 높은 수준으로, 현재로선 금리를 조정할 이유가 없다는 의미다. 금리 결정에 중요한 고용 상황도 나쁘지 않다. 미국 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1월 실업률은 4%로 전월(4.1%)보다 소폭 낮아졌다. 파월 의장도 이날 노동시장에 대해 "전반적으로 균형이 잡혀 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파월 의장의 언급은 최근 트럼프 대통령 발언에 대한 우회적 반박으로 보인다. 지난달 23일 트럼프 대통령은 "내가 연준 관계자들보다 금리를 더 잘 이해한다"며 "금리가 많이 떨어져야 한다. 연준에 금리 인하를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같은 날 세계경제포럼(WEF) 화상 연설에서도 "금리가 즉시 내려가도록 요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일 미국 워싱턴 백악관 대통령 집무실 내 '결단의 책상' 앞에 앉아 있다. 워싱턴=API 연합뉴스](https://newsimg-hams.hankookilbo.com/2025/02/12/088766b8-d61e-4e0c-b79c-d1e503ec3cac.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일 미국 워싱턴 백악관 대통령 집무실 내 '결단의 책상' 앞에 앉아 있다. 워싱턴=API 연합뉴스
문제는 미국 연방 독립기구인 연준에 행정부가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없다는 점이다. 파월 의장도 이날 이 부분을 명확히 했다. 그는 "우리는 정치와 선거에 개입하지 않고 우리의 일에 집중할 것"이라며 "어떤 정당이나 정치적 필터를 편애하거나 배제하려 하지 않고 데이터에만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연준 이사 해임' 위협과 관련해선 "법에 따라 명백히 허용되지 않는다"고 잘라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전 '파월 해임'을 선거 공약으로 내걸었고 사퇴도 요구했으나, 파월 의장은 임기(내년 5월까지)를 채우겠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해선 "어떤 정책이 시행될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추측하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다"며 즉답을 피했다. 다만 중국산 제품이나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가능성이 커졌다는 데에는 동의했다. 파월 의장은 "큰 국가가 (자유무역의) 규칙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엔 (국제 무역 질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관련 이슈태그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